티스토리 뷰
목차

장마철 타이어 점검과 빗길 주행 팁까지!
공기압 체크, 타이어 수명, 수막현상 예방법, 안전 운전 습관 등 여름철 꼭 필요한 차량 관리 정보를 정리했습니다.
☔ 장마철, 타이어가 먼저입니다
장마철엔 타이어 하나로 사고 확률이 갈립니다.
물에 젖은 도로에서는 제동 거리도 길어지고, 조향 능력도 떨어져요.
특히 수막현상이 일어나면 브레이크, 핸들 모두 무력화됩니다.
그걸 막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
타이어 점검 + 공기압 확인 + 안전운전 습관입니다.
🛞 1. 타이어 마모 체크법
- 트레드 깊이 1.6mm 미만이면 무조건 교체
- 100원 동전 테스트 → 이순신 장군의 머리 부분이 보이면 위험!
🚫 마모된 타이어는 빗길 제동력이 급감하며,
수막현상으로 인한 미끄럼 사고 위험이 3배 증가합니다.
🔧 2. 공기압 체크와 셀프 주입법
공기압이 낮으면 좋을 거란 착각, 장마철에는 위험해요.
낮은 공기압은
- 배수 성능 저하
- 마모 심화
- 연비 저하
- 제동 거리 증가
로 이어지기 때문입니다.
✅ 공기압 확인 순서
- 차량 문 안쪽 PSI 스티커 확인
- 정비소 또는 주유소의 공기압기 사용
- 4개 타이어 모두 확인
✅ 셀프 공기압 주입기
- 주입기 노즐 장착 → 공기 주입
- 자동 차단 or PSI 기준 맞추기
- 밸브 캡 꼭 닫기!
요즘은 차량용 휴대용 주입기도 인기 많아요.
여행 전엔 필수템으로 추천!




⏳ 3. 타이어 수명 체크
- 평균 수명: 4~5만km / 5년 이상은 무조건 점검
- 측면 DOT 숫자로 제조일 확인 (예: 3521 → 2021년 35주차)
- 장마철 고온+습도는 타이어 고무를 더 빨리 약화시킵니다
👉 특히 중고차 구매 후 타이어 연식은 무조건 확인하세요!
❓ 자주 묻는 질문 (FAQ)
Q1. 비 올 때 타이어 공기압 낮춰야 하나요?
❌ 안 돼요. 배수 성능 더 나빠지고 제동력도 감소됩니다.
Q2. 타이어 수명은 km 기준인가요, 연식 기준인가요?
👉 둘 다! 보통 5만km 또는 5년 중 먼저 도래하는 기준에 따라 교체해요.
Q3. 셀프 공기압 주입해도 안전한가요?
👉 네, 오히려 자주 관리하면 수명도 늘고, 사고도 줄어요.


🚘 4. 비 오는 날 주행 꿀팁 모음 (실전 편)
비 오는 날, 운전하는 사람이라면 꼭 알아야 할 실전 팁!
❗️초보운전자, 고속도로 주행, 빗길 야간 운전 모두 해당합니다.
✔️ 브레이크는 “살짝살짝, 미리미리”
- 급제동은 타이어 미끄러짐 유발
- 제동 거리가 평소보다 2배 이상 길어짐
- 미리 브레이크 준비 → 서서히 감속이 핵심!
✔️ 수막현상 예방: 속도 줄이고 타이어 정비
- 물 웅덩이 위를 고속으로 지나면 ‘핸들 풀림’ 현상 발생
- 타이어 트레드 정비 + 권장 공기압 유지가 가장 효과적인 예방책
- 80km/h 이상 주행 시 수막현상 확률 급증
✔️ 라이트 ON! 주간에도 켜세요
- 시야 확보보다 상대방에게 내 위치 알리는 게 더 중요
- 비 오는 날은 낮에도 전조등 켜는 게 안전 기준
✔️ 와이퍼 상태 체크
- 소리 나거나 잔흔 남으면 교체 시기
- 와이퍼 불량 = 앞 유리 시야 OFF
- 불량 와이퍼 + 야간 빗길 = 사고 확률 4배 증가
✔️ 안개등 오남용 금지
- 비 오는 날 무조건 켜는 건 ❌
- 안개등은 시야 확보가 아닌, 뒤차에 눈부심 유발
- 가벼운 비에는 전조등만 켜기



✅ 결론: 비 오는 날은 ‘타이어와 습관’이 안전의 핵심
여름 장마철엔 시야도, 노면도 불안정해요.
하지만 타이어 마모 체크, 공기압 관리, 브레이크 습관만 지켜도
사고 확률은 확실히 줄일 수 있어요.
지금 타이어 상태부터 확인하고,
- 👉 공기압 체크
- 👉 브레이크 습관 바꾸기
- 👉 트레드 마모 확인
- 👉 와이퍼 정비
이것만으로도 당신의 주말 여행길이 훨씬 더 안전하고 즐거워집니다.
'일반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에어컨 완전정복 가이드 (0) | 2025.07.05 |
---|---|
가족관계증명서 영문 발급 방법 (정부24 vs 전자가족관계시스템) (3) | 2025.06.17 |
운전면허 적성검사 갱신 한 번에 끝내는 법 (2025 최신) (2) | 2025.06.17 |
르무통 신발 솔직 리뷰 (착화감·가격·디자인·단점·세탁법 총정리) (4) | 2025.06.12 |
국세·지방세 완납증명서, 카카오톡으로 1분만에 발급받는 법 (모바일 간편인증까지 정리) (0) | 2025.06.11 |